오늘은 컨벤션 산업에 대해서 살펴볼 계획입니다.
컨벤션기획사 2급 필기 공부를 하면서 컨벤션 산업이라는 개념을 접하고 MICE 산업과의 차이가 도대체 무엇인지 고민을 많이 했었는데요. 네이버 지식백과의 힘을 빌려 MICE 산업의 개념을 찾아보니,
MICE 산업은 기업회의(Meeting), 포상관광(Incentives), 컨벤션(Convention), 전시(Exhibition)를 융합한 새로운 산업을 말하며 좁은 의미에서는 국제회의 자체를 뜻하는 컨벤션이 회의, 인센티브, 관광, 각종 전시, 박람회 등 복합적인 산업의 의미로 해석되면서 생겨난 개념이라고 합니다.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컨벤션의 개념이 넓어지면서 생겨난 개념이 MICE 라고 생각하시면 편할 것 같아요.
컨벤션 산업의 의의
컨벤션은 다양한 연관산업 효과를 가지고 있는 종합 서비스 산업으로 대규모의 컨벤션이 개최되면, 해당 개최지역에서는 새로운 고용기회가 늘어나고 지역 경제가 활성화되며 외화 획득과 세수 증대의 기회가 창출됩니다. 또한 개최지역의 국제적 인지도 향상과 함께 개최 도시의 이미지 개선, 개최 지역 주민들에게 교육, 문화적 기회 제공 등 폭넓은 긍정적 파급효과를 가져옵니다.
컨벤션은 관광, 레저, 숙박, 유흥, 교통산업 등을 포함하는 종합 서비스 산업이자 지식과 정보의 생산과 유통을 촉진하는 고부가 가치의 지식 기반 산업(Knowledge-based industry)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컨벤션의 사전적, 제도적 그리고 법률적 정의를 살펴 보면,
사전적 의미
초기의 컨벤션은 국가들 간의 약속, 즉 국제적 합의에 붙여진 명칭으로 일반적으로 '조약' 또는 '협약'으로 번역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국어사전에 따르면 '컨벤션'이라는 단어는 1980년대에 우리나라에 처음 출현했으며, 그 의미는 조약과 유사하게 사용되었습니다.
제도적 의미
- 한국관광공사(2009) : 국제회의란 국내에서 개최된 국제행사로 외국인 참가자 수 10명 이상(2009년도부터 참가국 수 제한 폐지)인 순수 국제회의(국내 회의도 본 기준을 충족하면 국제회의로 포함)라고 정의한다.
- 세계 국제회의 전문협회(International Congress & Convention Association) : 국제 비정부기구(협회)에서 주최하는 회의로 정기적으로 개최되며(일회성 x), 개최지는 3개국 이상 순회하고, 회의 참가자 수가 50명 이상인 회의를 국제회의로 정의하고 있다.
- 국제협회 연합(Union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 국제기구(정부기구 및 비정부기구 모두 포함)가 주최, 후원하는 회의 또는 국내 단체가 주최하는 회의 가운데 전체 참가자 수 300명 이상, 참가자 중 외국인 40% 이상, 참가국 수 5개국 이상이 참가하는 회의로, 그 기간이 3일 이상인 회의라고 정의하고 있다.
- 영국 관광공사(BTA; British Tourist Authority) : 1984년에 컨벤션을 콘퍼런스(Conference)와 회합(Meeting)으로 구분하였다. 콘퍼런스는 정해진 주제에 15명 이상이 참석하여 최소한 2일 이상 계속해서 회합, 세미나, 교육 프로그램 등을 실시하는 것을 의미하며 회합은 정해진 주제에 15명 이상의 인원이 최소한 6시간 이상의 세미나와 교육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모임을 2일 이하의 기간에 걸쳐 실시하되 숙박 서비스는 포함되지 않는다 라고 정의하고 있다.
- 아시아 컨벤션 뷰로 협회(Asia Association of Convention & Visitor Bureau) : 2개 대륙 이상에서 참가하는 회의를 국제회의(International meetings)로, 동일 대륙 2개국 이상의 국가가 참가하는 회의를 지역회의(Regional meetings)로 규정하고 있다.
법률적 의미
- 관광진흥법 : 국제회의를 '대규모 관광수요를 유발하는 국제회의를 개최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 운영하거나 국제회의의 계획, 준비, 진행 등의 업무를 위탁받아 대행하는 업'이라고 정의한다.
- 국제회의 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 : '국제회의란 상당수의 외국인이 참가하는 회의(세미나, 토론회, 전시회 등을 포함)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종류와 규모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 대통령령: 대통령이 내리는 명령. 법률과 동일한 효력을 가지는 긴급 명령과 법률에서 위임받은 사항에 대하여 내리는 위임 명령, 법률을 진행하기 위하여 내리는 집행 명령 따위가 있다.
또한 '국제회의 산업은 국제회의 유치 및 개최에 필요한 국제회의시설, 서비스 등과 관련된 산업을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상 컨벤션 산업의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어쩌면 지루한 단계일지도 모르겠지만 산업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또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가장 기본적인 단계라고 생각합니다. 즐거운 마음으로 마이스 산업을 알아가 봅시다! 😍
MICE 관련 용어 : 컨벤션 센터 (0) | 2020.01.04 |
---|---|
컨벤션 산업의 특징 (0) | 2019.12.30 |
[큐넷 2020년 정기 기사] 컨벤션기획사 2급 시험일정 (0) | 2019.12.26 |
[자격증] 컨벤션 기획사 2급 (0) | 2019.12.25 |
MICE 관련 용어 : PCO와 PEO (0) | 2019.12.22 |
댓글 영역